[go: up one dir, main page]

  • 화면크기 100%

e보건소

자주묻는질문(FAQ)

  • A
    모바일 서비스 이용 오류 해결 방법

    네이버 앱, 다음 앱 등에서 e보건소 모바일 서비스 이용 오류가 발생한 경우,
    아래의 방법으로 기본 웹 브라우저(인터넷, 사파리, 크롬)으로 변경하여 사용해 보시기 권장드립니다.


     
  • A 인터넷 익스플로러 프로그램은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서비스를 종료한 인터넷 프로그램입니다. 

    안전한 인터넷 사용을 위해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구글 크롬, 애플 사파리, 오페라 등" 라는 프로그램으로 인터넷을 사용해주세요!

    무료로 배포되고 있으니 아래 내용을 참고하시어 인터넷 프로그램을 설치하시면 되며,

    해당 프로그램 설치하시면 보다 원활한 e보건소 서비스 이용이 가능합니다. 


     -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  www.microsoft.com/ko-kr/edge/download

     - 구글 크롬 :  www.google.com/intl/ko_kr/chrome/
     - 애플 사파리 : www.apple.com/kr/safari/

     - 오페라 : www.opera.com/ko

    웹표준을 준수하는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조회해주시면 원활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합니다. 




     
  • A
    발급받은 분의 생년월일 6자리입니다. 

    예를 들어, 생년월일 2023년 2월 20일인 분이 발급받은 증명서의 비밀번호는 "230220" 입니다. 
    암호 입력창에 생년월일 6자리(예: 230220)를 입력해주세요!!! 



     
  • A 간편인증 서비스 이용 시 인증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인증기관으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인증기관별 고객센터>
     - 카카오톡 : 1577-3754
     - KB모바일 인증서 : 1588-9999
     - 페이코 : 1544-6891
     - 삼성패스 : 1577-8787
     - 네이버 : 1588-3820
     - 신한은행(신한인증서) : 1577-8000
     - 토스 : 1599-4905
     - 뱅크샐러드 : 1661-9793
     - 하나은행 : 1588-1111, 1599-1111
     - 통신사패스(SKT,KT,LGU+) : 1800-4273

    * 상담가능시간 : 월요일~금요일 09:00 ~ 18:00(상담시간은 인증기관별 상이할 수 있습니다.)



     
  • A 발급받은 증명문서가 보이지 않으세요? 저장된 파일이 인터넷창으로 열렸나요?

    문서 뷰어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을 확인해보시고, 해당되는 내용이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1. 파일은 PDF파일로 이용자의 컴퓨터에 저장됩니다. 
       '증명문서 명칭(예: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결정통보서.pdf)으로 저장되며, 
       '컴퓨터>다운로드' ,'바탕화면', 혹은 컴퓨터>'문서' 폴더 등 파일 저장 경로를 확인! 그 경로에 파일이 있나요? 

       파일을 찾으셨어요? 파일을 찾았다면 증명문서가 저장 완료된 것입니다. 파일은 열때는 PDF 뷰어 프로그램으로 내용을 확인해주세요! (아래 설명 참조)


    2. PDF파일이 열어도 반응이 없다구요? 더블클릭해도 반응이 없으시다구요? 인터넷 창이 열리나요?
       잠깐! 발급받은 증명서는
    PDF 프로그램으로 실행해야 합니다. 인터넷 프로그램(엣지, 크롬 등)으로 PDF 파일이 열게 되면 암호를 입력할 수 없어 오류가 나요!
       즉, PDF파일이 인터넷으로 자동 열게 설정되어 있다면 인터넷에서는 암호를 입력할수 없어 파일이 열리지 않습니다. 
       컴퓨터 프로그램 중  Adobe Acrobat PDF Reader PDF파일을 열수 있는 PDF프로그램으로 확인해보세요!

    3. PDF 프로그램으로 파일 여는 방법을 말씀드릴께요! 프로그램이 없으시다구요? 
       무료 배포되고 있는 프로그램들을 확인해보시고 프로그램을 먼저 다운로드 받아주세요! 
       (예: Adobe PDF프로그램 Adobe acrobat reader : https://get.adobe.com/kr/reader/)


       첫번째 방법. 저장한 증명문서 파일 한번 클릭 → 오른쪽 마우스 버튼 클릭하면 메뉴 중 '연결프로그램' 이 보이세요?
       연결프로그램 클릭하면 '한글과 컴퓨터-한PDF,  Adobe Acrobat PDF Reader, 알PDF' 와 같은 PDF 프로그램이 보이실거예요!
       그 중 한가지를 선택하여 연결프로그램을 설정해주세요! 그리고, 다시한번 파일 더블클릭 또는 파일 실행! 

       두번째 방법.  프로그램을 먼저 열고, 프로그램 안에서 저장한 증명문서를 열어주시면 됩니다. 
       어떻게 열어야 하는지 모르신다면, 많이 사용하는 Adobe PDF프로그램으로 설명드릴께요!
        Adobe PDF를 먼저 열어주세요. '윈도우 메뉴 중 Adobe PDF프로그램을 열어 상단 메뉴 '파일'에서 '열기' 클릭! 증명문서 저장한 위치를 확인해서 파일을 열면 됩니다!
        

    3. 문서 암호를 입력해야 합니다. 암호는 생년월일 6자리(예: 230220) 입니다.  증명문서는 개인정보가 들어있는 파일로 비밀번호는 고객님의 생년월일로 자동설정되어있습니다. 이에,  파일을 실행할때 입력하는 암호는 생년월일 6자리를 입력해주세요!




    해결이 어려운 경우, 공공보건포털 고객상담센터 1566-3232(ARS 5본->1번, 09시~18시)를 통해 문의 접수해주시면 빠른 처리가 가능합니다. 

     
  • A 증명서에 출력된 주소는 보건소에서 입력된 정보로 주소 변경을 원하시면 내원했던 보건소로 요청하여 주소 수정이 필요합니다.
     
  • A e보건소에서 발급된 증명서의 진위여부는 문서원본확인 기능을 통해 확인이 가능합니다.

    "민원서비스 > 증명문서 발급 > 문서원본확인"에서 문서번호를 입력하여 증명서 진위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A 가능합니다! e보건소 온라인 증명 문서는 PDF파일로 발급되어 이용자분의 PC에 저장하게 됩니다. 
    저장된 파일을 첨부하여 이메일로 발송하면 됩니다. 

    참고로, 증명문서의 경우, 개인정보가 포함된 문서로 생년월일 6자리로 비밀번호가 지정되어 저장되어있습니다. 

    파일 실행 시, 참고해주세요! 
  • A 아이의 보호자로 등록되어있지 않은 경우 조회되지 않을수 있습니다.

    진료 또는 접종받은 보건기관으로 아이 보호자 등록이 되어 있는지 확인해주세요.


    접종받은 보건기관에서 본인을 영유아 보호자로 등록되지 않은 경우, 해당 보건기관으로 문의하여 보호자 정보 등록을 요청해주시면 됩니다. 




     
  • A 판정상태는 진료받은 보건기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판정상태와 판정결과는 보건기관에서 처리하고 있어 진료받은 보건기관의 확인이 필요합니다.

만족도 평가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